프로토콜이란?
프로토콜 목적 : 기기의 차이에 관계없이 데이터를 안전히 잘 주고받기 위함.
컴퓨터끼리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는 기종이나 통신 방식과 같은 여러가지 차이가 문제가 생깁니다. 컴퓨터 사이에 송수신을 위한 공통된 장치를 만들면 각각의 차이에 관계없이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습니다.
프로토콜 정의
직역하면 의정서인데
데이터를 주고받을 때는 송신측과 수신측의 컴퓨터가 문제없이 교류할 수 있도록 미리 정해 놓은 공통된 매뉴얼(절차) 에 따라 연락을 취해야 함.
프로토콜은 이런 매뉴얼(절차) 이라고 할 수 있다.
쉽게 말해,
전화를 한다는 상황을 가정해보면 전화통화라는 행위 하나가
1) 전화기를 들고
2) 상대의 전화번호를 누른다
---사용자에게 보이지 않는 곳에서 필요한 정보가 전달되어 간다---
3) 상대가 수화기를 들 때까지 기다린다
4) 상대와 대화가 끝나면 수화기를 내린다 / 전화를 받지 않으면 수화기를 내린다
라는 작은 행위(절차)들이 모여 이루어지는 것임을 알 수 있다. 이 때 필요한 일련의 절차를 바로 프로토콜이라고 부를 수 있는 것이다.
컴퓨터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는 일을 한다고 할 때도 몇 개의 프로토콜이 모여서 주고받기가 이루어집니다. TCP/IP는 인터넷 등을 필두로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프로토콜군( 여러 개의 프로토콜이 모여 있는 것) 입니다.
프로토콜의 내용
컴퓨터는 정해진 것 이상의 작업은 할 수 없으므로 주고받기의 순서나 처리에 대해 아주 자세한 부분까지 정해주어야 합니다.
그러면 정해주어야 하는 것들은? (프로토콜의 내용)
회사로 비유해 보자.
<A사> 사장님이 비서실로 문서를 보내라 지시 -> 비서가 총무부에 주소 묻기 -> 총무부가 B사에 연락해서 주소 받음 -> 비서가 주소 기재하고 업무부에 문서 전달 -> 업무부가 우편 발송
<B사> 우편 받은 업무부가 비서실에 전달 -> 비서실에서 받은 문서를 사장님께 전달
이러한 각각의 루틴을 컴퓨터도 처리해야 한다.
'신호로 변환 -> 전달 -> 데이터 재변환' 이라는 일련의 흐름이 있습니다.
이런 일련의 흐름을 통일시킨 절차를 기본으로 하여 수행되는 것이 TCP/IP 구조입니다.
댓글